강원도

백두대간 피재에서 화방재까지:17.03.18

산송 2017. 3. 19. 13:38


                                                

                                                 제일 싫어하는 무박산행

                                                 이 구간은 독특한 풍광을 지닌

                                                 고랭지 배추밭과 바람의 언덕을 통과한다.

                                                 주위는 온통 깜깜한 암흑으로 이색적인 풍광을 앵글에 담을 수 없어 안타깝구나.

                                                 매봉과 바람의 언덕 그리고 비단봉을 지나 금대봉으로 향하는 눈밭부터 사물이 보인다.

                                                 중함백산 가는 길목에서 또 다른 경험을 한다.

                                                 새끼와 함께 무리를 지어 다니는 멧돼지를 만난다.

                                                 놀란 가슴에 움찔하는 순간

                                                 본능적으로 새끼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망치는 멧돼지 뒷모습을 보고서

                                                 그제야 안도의 숨을 내쉰다.

                                                 산불예방을 위한 입산금지를 무시하고 감행한 산행은

                                                 함백산 코앞에 두고 국공들의 제지로

                                                 임도길로 내려오는 웃지못할 해프닝도 경험한다.

                                                 대간길에 일어난 이런 저런 사건으로 추억을 쌓아간다.

                                                 .코스:피재(삼수령)-매봉산(천의봉)-바람의 언덕-비단봉-금대봉-두문동재(싸리재)

                                                        은대봉-중함백산-함백산-만항재-수리봉-화방재

                                                 .거리:21.5km

                                                 .산행시간:8시간15분

                                                 .날씨:흐리고 미세먼지

                                                 .난이도:하

7시12분 인데 산속은 아직도 어둠에 잠겨있다









7시24분을 지나니 사방이 보인다









춘삼월에 많은 눈이 쌓인 태백









한강과 낙동강 발원지인 검룡소와 용소을 안고 있는 금대봉

금이 많다고 붙여진 아름다운 이름








나목 가지 사이로 은대봉이 보인다









두문동재로 내려간다









두문동재

*정선군 고한읍과 태백시 사이의 고갯로 국도 38번이 지난다

 다른 이름은 싸리재라고도 한다

*유래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하자 고려 유신들이 불사이군의 지조를 지키려고

 개경 부근의 두문동에 숨어 들어갔다가 태조 이성계가 불을 지르는 바람에

 대부분 죽고 살아남은 일곱 사람이 이곳으로 들어와서 두문불출했는지라 

 이 곳 역시 두문동이라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지나온 두문동재 감시초소

뒤에는 금대봉








춘삼월에 눈을 밟고 지나간다









은대봉 가는 야생화 천국 능선









뒤돌아보니 피재,매봉,바람의 언덕,비단봉(우측부터)이 한눈에 들어온다









뒤 좌측에는 지나온 금대봉









뒤에는 피재에서 비단봉(우측부터)까지

전방 우측에는 두문동재로 올라오는 38번 국도

중앙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추전역







지나온 비단봉(우측의 쌍봉 두 번째 봉)과 금대봉(좌측) 









아름다운 이름이다









중함백산으로 발길을 옮긴다









우측 능선으로 눈길이 간다









중함백산,함백산,KBS중계탑이 눈에 들어온다









괴목


















백운산과 하이원 스키장









뒤에는 지나온 은대봉과 금대봉









미세먼지에 파묻힌 백운산









KBS중계탑과 함백산









중함백산









오투리조트의 스키슬로프









자꾸 눈에 들어오는 백운산 능선









KBS중계탑과 함백산도 지척이다









함백산 우측 능선









좌측 뒤에는 장산의 모습









근육을 드러낸 백운산 능선









함백산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진다









보호수로 지정된 살아서 천 년 죽어서 천 년 간다는 주목









대한민국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 "크고 밝은 산"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함백산 우측 능선









가까이 다가선 KBS중계탑









뒤돌아보니 멀리만 보이는 중함백산(두 번째 봉),은대봉,금대봉









                                      한쪽은 사목인데

                                      한쪽은 싱싱한 잎이 자라는 신기한 주목








KBS중계탑

*이 부근에서 국공의 제지를 받고 바로 아래 시멘트도로까지 내려간다

 산불예방을 위한 출입금지 기간(5월15일까지)







시멘트도로 따라서 만항재까지 내려간다

차로 이 도로 따라서 정상까지 갈 수 있다








장산도 나의 마음을 위로한다









지나온 능선도 바라본다









 대한체육회선수촌 태백분소로 가는 도로 만나고

 좌측 능선으로 만항재로 간다

*기원단

  옛날 백성들이 하늘에 제를 올리며 소원을 빌던 민간 신앙의 성지

  광부 가족들의 무사안전을 위해 정성을 다하여 기도했던 곳





저 곳이 만항재









414번 국도가 지나는 만항재 고갯마루

*차량이 다닐 수 있는 포장도로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고갯마루








너무 높다 만항재(13330m)









만항재 고갯마루









수리봉 가는 길의 낙엽송









국가시설물

저기서 좌측으로








오늘 대간길 마지막 봉

매를 닮아서 수리봉인가?








장산









날머리에서 본 하산 길









화방재









꽃방석 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