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 구봉대산(900.7m):15.02.08

산송 2015. 2. 9. 11:29

포카리 음료수가 얼만큼 올겨울 가장 추운 날에 구봉대산을 다녀왔다.배덕산과 사자산 지능선상에 있는 이 산은 아홉개의 봉이 連峯으로 이어져 있다.

봉마다 人生의 生老病死에 대한 深奧한 의미를 담고 있다.마지막 봉은 德을 베푼 사람은 불교의 輪廻說에 따라 還生하여 循環하는 無始無終의 고리처럼

永生不滅한다는 것이다.산행을 마무리하면서 살아온 人生旅程을 뒤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코스:법흥사주차장-법흥사-적멸보궁-안흥골방향-널목재-1봉~9봉-음다래골-일주문

.거리:8.2km                 .산행시간:3시간10분                     .날씨:맑음(바람 불고 매우 추운 날씨)                     .난이도:하

연꽃을 닮은 연화봉

금강문

*법흥사

 자장율사가 643년(선덕여왕 12년) 당나라에서 돌아와 오대산 상원사,태백산 정암사,영취산 통도사,설악산 봉정암등에 부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마지막으로 이 절을 창건하여 진신사리를 봉안했으며 흥녕사라고 하였으나 1902년 법흥사로 개칭되었다.

적멸보궁

*자장은 중국 오대산 태화지에 있는 문수석상 앞에서 간절한 기도 끝에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선덕여왕 12년에 부처님 사리100과와 부처님께서

 입으시던 가사 1벌을 당나로부터 가져왔다.

*적멸보궁이 위치한 자리는 우백호에 해당하는 천하의 명당

석분과 부도

*석분

 신라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도를 닦던 곳으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돌방의 겉모습은 흙을 뭉긋하게 덮어 무덤처럼 보인다.

*부도

 징효대사 부도와 같은 형식이나 누구의 부도인지 알리져 있지않다.

와불상처럼 보이는 구봉능선

셋번째 도착한 마지막 계곡

힘이 부치는 가파른 오르막길

지친 몸을 잠깐 쉬어가는 널목재

1봉인 양이봉

*인간이 어머니 뱃속에 잉태함을 나타낸다.(뱃 속의 아기가 건강하기 만을 바라는 어머니마음)

 .봉의 설명은 한국관광공사 자료에서 발췌

인생의 삶이 굴곡이 있듯이 나무도~~~

2봉인 아이봉

*인간이 세상에 태어남을 나타낸다.(자식을 키우는 어버이의 마음)

3봉인 장생봉

*인간이 유년.청년기를 지나는 과정을 의미한다.(부모를 떠나 홀로 시작하는 시기에 두려움 극복)

배덕산 능선

사자산(좌측)에서 뻗어내린 연화봉(가운데)그리고 배덕산(우측)

4봉인 관대봉

*인간이 벼슬길에 나아감을 의미한다.(단계마다 최선을 다하라)

연화봉과 지리산 반야봉을 닮은 배덕산 그리고 신선바위봉

험해지는 능선

5봉인 대왕봉

*인간이 인생의 절정을 이룬다는 뜻을 의미한다.(인생의 최고 황금기)

앞서가는 경기성남에서 온 산우님들

6봉 가는길에 본 풍광

*6봉인 관망봉(안전을 위하여 6봉 통과)

 지친 몸을 잠시 쉬어감을 의미한다.(衆善奉行 諸惡莫作)

길도 험하고 몸도 지치니 산행속도가 느리다

7봉인 쇠봉(돌탑에 비는 마음은~~~)

*인간이 병들고 늙음을 의미한다.(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떠날 준비)

8봉인 북망봉

*인간이 이승을 떠남을 의미한다.(언젠가는 맞이해야 되는 죽음)

빙판이 있는 내리막길

암릉길에 빙판이 위험!!!

위험하니 조심!!!

무명봉

연화봉 중턱에 있는 적멸보궁을 향해 마음속으로 빌어본다

9봉인 윤회봉

*덕을 베푼 사람은 인간으로 다시 태어난다.(인과응보)

다시 보는 사자산과 배덕산의 산세

비탈진 음지

지나온 구봉능선

 

 

사자산법흥사 일주문

*코끼리상(우측)과 거북이 형상(좌측)

 "중생의 깨달음은 모든게 다 보이는데 아직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꿈을 통해 사자산문을 일으키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