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부산 금정산 정법사지 남근석 자웅석계:21.02.06

산송 2021. 2. 7. 10:49

                                        지난주에 이어서

                                        서문 성곽 따라서 명소를 찾아간다.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쌓 성곽

                                        선조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다.

                                        흉물로 변해버린 정법사사지

                                        목각 대신 크다란 바위에 새겨진 사천왕

                                        너무나 섬세하게 양각되어 예술미가 돋보인다.

                                        범어사기의 하나인 훼손된 자웅석계를 보고 하산한다.

                                        .코스:공해마을-가나안수련원 입구-서문-부산학생교육원 앞-장골봉(석문)-암문

                                                제2금샘-미륵봉-정법사지-금샘-남근석-자웅석계

                                        .거리:12.95km

                                        .산행시간:6시간54분

                                        .날씨:맑고 미세먼지

                                        .난이도:하(독도주의)

온천장역 3번출구 나와

육교 건너 좌측으로 조금 가면

203번 버스정류장

 

 

공해마을 하차

물레방아집 좌측 골목으로

 

 

가나안수련원 입구에서 본 지난주에 지나온 파리봉

 

 

서문 가는 성곽

 

 

 

 

 

각자된 메산의 의미는?

 

 

뒷쪽 바위 모습

 

 

계곡에 세워진 4대문 중 제일 아름다운 서문

 

 

서문에서 4망루까지 이어지는 중성

중간에서 좌측으로 가야 외성으로 갈 수 있다

 

 

대천천

 

 

아치 형태의 대천천 수구 3개

 

 

뒤돌아본 서문

 

 

추억도 남긴다

 

 

중성

 

 

중성에서 외성으로 되돌아와

부산학생교육원 전방 성곽

 

 

봄의 전령 버들강아지

 

 

고당봉으로 향하는 성곽

 

 

지나온 성곽

 

 

지형지물을 이용한 성곽

 

 

크다란 바위 위에 쌓 성곽

 

 

 

 

 

장골봉(496.4m) 석문

 

 

 

 

 

석문에서

 

 

 

 

 

암문

*유사시 적이 주요한 문을 봉쇄했을 때

 적이 모르도록 비밀스럽게 물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만든 비밀문

 

 

도암(봉숭아바위)

 

 

제2금샘

 

 

제2금샘에서

 

 

석화분에 자라고 있는 소나무

 

 

추억도

 

 

자연재해로 만들어진 목문

 

 

고당봉 조망

 

 

680봉의 삼각점

 

 

미륵봉 가기 전

전망바위에서 본 미륵사(중앙 아래)

 

 

금정산 주능선에 무명바위와 의상봉(중앙)

 

 

백양산 조망

 

 

색다른 포즈

 

 

미륵봉

*부산 모산악회에서 세운 표지석은 없고

 바위에 검은 글씨로

 

 

미륵봉의 하트 모양

 

 

미륵봉 아래 암릉

 

 

북문 조망

 

 

조금 더 아래로 내려간 암릉

 

 

고당봉

 

 

지나온 능선

 

 

정법사지의 사천왕

 

 

정법사지 위 암릉의 반송

정법사지의 모습을 보기 위해 암릉 우회하여 아래로 내려간다

 

 

정법사지 흔적

4두불상

 

 

 

 

 

관음보살과 불상

 

 

불상 하단에 여의주를 문 2개의 용머리

 

 

우측 용머리의 "왕"자

 

 

좌측 용머리

 

 

사천왕 방향

혹시 저 앞 굴속에 석간수가?

 

 

흔적은 있는데 물이 나오지 않는다

 

 

흉물이 된 훼손된 구조물

 

 

"정법" 각자 밑의 양각 사천왕

 

 

 

 

좌측의 사천왕은 바른 손에 칼을 든 것으로 보아 "남방증장천왕"

우측의 사천왕은 보탑을 든 것으로 보아 "북방다문천왕"

 

 

하단

우측 바위에 두 분의 사천왕

자연훼손이 이미 많이 진행됨

 

 

사천왕 윗쪽 석축

 

 

맞은편 바위 사천왕

 

 

훼손이 심하여

"동방지국천왕"과 "서방광목천왕"이 어딘지 구분 불가함

 

 

가운데 문양은 연꽃으로 추정

 

 

좌측의 천왕은 호리병을 들고 있음

 

 

 

 

 

우측 사천왕

 

 

 

 

 

부서진 석탑 흔적

*살펴본 결과

 인위적으로 파괴한 것으로 추정됨

 

 

칠바위

 

 

고당봉 조망

 

 

고당봉 가는 갈림길에서 바로 금샘으로 간다

 

 

금샘

 

 

여러 각도에서 본 금샘

 

 

 

 

 

 

추억도

 

 

금샘 주변 바위들

 

 

금샘에서 본 고당봉

여기서 남근석으로 간다

 

 

 

남근석

 

 

 

 

 

여기서 마지막 목적지인 자웅석계로 간다

이길은 스님 수행길로 범어사가 감춘길 입니다

 

 

범어사 왕대밭

 

 

 

 

 

계명암 가는 오르막길

 

 

계명암 일주문

 

 

계명암 담벼락

 

 

남산봉과 무명바위,의상봉

 

 

관음보살

 

 

6층석탑

 

 

자웅석계

수탉과 암탉(우측)

 

 

계명봉에서 보면 대마도가 보인다고 한다

대마도의 모양이 지네처럼 생겼다고 한다

계명봉의 닭이 지네처럼 생긴 대마도를 쪼아 먹는 형국이 되는 셈이다

일제의 입장에서는 불길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불길함을 없애기 위해 자웅석계의 암탉을 부수였다 한다

 

 

수탉의 모습

 

 

한국의 아름다운 곡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