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43

양산 용소골 내원사계곡 적멸굴 성불암계곡 용연천:21.04.17

원효대사가 화엄경을 설법하여 천 명의 성인을 배출한 천성산 이곳에 원효대사가 수도하여 득도하였다는 적멸굴을 찾아간다. 네 개의 계곡을 건너고 두 개의 능선을 지나기 때문에 특별히 독도에 주의해야 한다. 이 굴의 특색은 9부능선에 위치한 자연동굴이다. 굴입구에 대나무숲이 있고 굴입구가 넓고 굴내부의 천정에서 석간수가 떨어지고 바닥에는 물을 모아두는 웅덩이가 있다. 적멸굴에서 나오는 순간 약간의 빗방울이 중앙능선 중간 지점쯤 천둥소리와 함께 소나기가 내리고 우박이 떨어진다. 우비로 몸을 숨기고 지나가는 소나기를 피한다. 산행 중 또 다른 경험을 한 산행이었다. .코스:신정마을-용소골-용소폭포-내원사계곡-적멸굴-중앙능선 "천성산2-12"이정목 중앙능선 700봉(정상)-중앙능선 "양산15-3"이정목-성불암-성불..

경상도 2021.04.18

거제도 화도:21.04.10

모처럼 미세먼지 없는 청명한 날씨 오래간만에 거제도 부속섬인 목섬으로 간다. 승선 시간은 약 10분 이지만 이 역시 간만에 배 탄다. 모세의 기적으로 바닷가 갈라진 바닷 속 길로 목섬까지 걷는 것이 오늘 섬산행의 백미이다. 마침 물때가 맞아서 소원성취 하였다. 전망처에서 보는 통영 미륵산과 거제도 산방산을 원 없이 보고 왔다. .코스:화도선착장-목섬-면포마을-송포마을-목섬-연막포마을 해오름전망대-발포마을-미포마을-왜선포마을-동굴-화도선착장 .거리:11km .산행시간:3시간50분 .날씨:맑음 .난이도:하 호곡항 11시 배로 시간적 여유가 있어 여기저기 살피고 다닌다 호곡항에서 본 화도와 통영 미륵산 호곡도선선착장 호곡마을 호곡항 호곡선착장 호곡마을 호곡교회 11시에 화도페리를 탈 예정이다 5봉으로 된 화도..

2021.04.11

청도 대포산 남산 사리탑 낙대폭포:21.04.02

어김없이 또 주말 비 예보 하루 앞당겨 기차로 청도로 간다. 한때 청도의 명산인 화악산 산행 후 하산주로 특산물인 한재미나리로 삽겹살 싸 먹는 산행이 유행한 때가 있었는데~~~ 오늘 가는 산은 화악산 맞은편에 있는 남산이다. 전반적으로 육산이지만 정상부는 암릉과 암봉이 버티고 있다. 암릉 곳곳에 자란 노송의 멋진 자태가 잊을 수가 없구나!!! 산벚꽃과 어울려진 낙대폭포도 뇌리에서 쉽게 잊혀지지 않는구나!!! .코스:청도역-청도군청-대동지둑-대포산-상여듬바위-봉수대-삼면봉-남산 헬기장-장군샘-신둔사-은왕봉왕복-폭포골-낙대폭포-한옥학교-대동지-청도역 .거리:17.98km .산행시간:7시간57분 .날씨:흐리고 미세먼지 .난이도:하(독도주의) 동래한전에서 307번 환승 구포역 하차 무궁화 열차로 청도역에 하차(..

경상도 2021.04.03

목련과 벚꽃:21.03.26

주말 비와 11년 만의 황사로 청도행 산행을 부득이 취소하고 산행 사진 대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목련과 벚꽃을 소개합니다. *목련의 전설 옥황상제의 공주가 수많은 귀공자를 마다하고 북쪽의 바다 신만을 연모하였다. 옥황상제는 바다의 신은 용모는 빼어나지만 성질이 포악스러워 결혼을 반대하였다. 공주는 추위를 무릅쓰고 북쪽 바다로 갔으나 이미 바다의 신에게 아내가 있었다. 하늘로 돌아갈 수 없는 공주는 얼음장 같은 바닷물에 몸을 던진다. 이 사실을 안 바다 신은 아내에게 독약을 먹여 죽게 한 후 공주의 무덤 옆에 나란히 묻어 주었습니다. 옥황상제는 두 여인의 무덤에 꽃이 피어나게 하였다. 공주의 무덤엔 백목련 아내의 무덤엔 자목련 *또 다른 목련꽃을 .공주의 넋이 꽃으로 피어난 것이라 하여 "공주의 꽃" ..

기타 2021.03.30

부산 금정산 사리탑 2:21.03.19

토.일요일 비 예보 미세먼지 없는 금요일 산행하기에 최적의 조건 금정산 사리탑1,2,3 중 사리탑 2 찾아간다. 가는 길에 먼저 의상대와 마애불을 둘러본다. 사리탑 2 가는 길은 가파른 내리막 바위길이다. 원효암계곡을 건너서 사리탑 2를 찾아야 한다. 세 번만에 찾은 사리탑 2 보는 순간 감회가 새롭다. 금정산이 숨겨놓은 사리탑 1,2,3을 다 보고 하산한다. .코스:범어사-원효암-의상대-마애불-사리탑 3-사리탑 2 사리탑 1-상마마을 입구 .거리:3.96km .산행시간:2시간48분 .날씨:맑음 .난이도:하 범어사 7번출구로 나와 범어사 가는 길에 버스정류장에서 90번 버스 탑승하여 범어사 입구 하차 봄 기운을 불러넣는 생명수 모처럼 미세먼지 없는 쾌청한 하늘 범어사는 통과한다 원효암 영역의 철조망 문 ..

경상도 2021.03.20

부산 암남공원 용궁구름다리 거북섬구름산책로:21.03.13

전날의 비로 먼산 대신 최근에 볼거리가 많이 생긴 암남공원으로 간다. 어부와 인용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는 거북섬구름산책로 용궁으로 들어가는 용궁구름다리 독특한 색깔을 띠는 기암 절벽이 있는 천혜의 절경 등등 트레킹과 관광을 두루 만족시키는 즐거운 하루이었다. .코스:암남공원후문-두도전망대-희망정-부산국가지질공원 용궁구름다리-거북섬구름산책로 .거리:12.04km .산행시간:5시간6분 .날씨:맑음 .난이도:하 자갈치역 1번출구로 나와 조금 올라가면 버스정류소 7번 버스로 모지포마을에서 하차 좌측 도로 따라 내려간다 암남공원 후문으로 들어간다 길 따라 올라간다 전방에 감천항 감천항 배경으로 풍차가 돌아가는 독특한 모양의 화장실 사랑의 포토죤 저기가 부산국가지질공원이다 저기 가는 길은 조금 험한 밧줄 ..

경상도 2021.03.14

청도 까치산 호거산 방음산 와호산:21.03.06

구름 많고 거센 바람 청도로 가는 길에 하늘을 덮고 있는 검은 구름 가끔 가랑비도 내린다. 그래도 새마을동산에 도착하여 산행을 시작한다. 전망이 좋은 산인데 안개가 산야를 뒤덮고 있다. 겨우 보이는 것은 운문호 정도다. 전망은 보지 못하지만 부드러운 능선길 걷는 것으로 만족한다. .코스:새마을동산-69번 지방도-임도-운문댐92-까치산 555봉-정거고개-호거산-삼거리갈림길-방음산-와호산 방음앞산-69번지방도-새마을동산 .거리:12.57km .산행시간:5시간43분 .날씨:구름 많고 세찬 바람 .난이도:하 새마을운동을 처음 시작한 청도의 새마을동산 새마을운동상징상 5.16계단을 지나 69번지방도 좌측으로 조금 올라간다 좌측 임도 끝까지 올라간다 임도 가기 전 본 운문호 들머리부터 가파른 오르막길 "운문댐 92..

경상도 2021.03.07

부산 황령산 금련산 배산:21.02.27

코로나 19로 지난 1년을 뒤돌아보니 먼산 대신 부산권의 산들을 한 번 돌아본 것이 보람된 산행으로 기억된다. 보고 싶은 산우님들을 만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건강하게 자기관리를 잘 하신다면 또 명산에서 만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반 여건 상 눈산행을 하지 못한 것이 후회스럽다. .코스:경성대 정문-경성대 야구장-갈미봉-사자봉-황령산봉수대 황령산-금련산-배산역-배산-연산동고분군--연동시장 .거리:11.79km .산행시간:5시간30분 .날씨:구름 많고 강한 바람 .난이도:하 인문대학 가는 길 야구장 좌측으로 무명봉 가는 길 무명봉 또 다른 무명봉 가는 길 체육시설이 있는 정자 갈미봉(263.5m) 가야할 능선 사자봉,황령산봉수대,황령산(좌측부터) 사납게 생긴 바위 뒷에서 본 모습 신선대,태종대,..

경상도 2021.02.28

삼랑진 구천산 만어산 만어사:21.02.20

오래간만에 부산권을 벗어나 기차타고 삼랑진으로 간다. 옛적의 수학여행 추억도 되살아난다. 이곳은 아직도 대중교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택시를 이용한다. 구천산은 골산으로 중턱부터 까칠한 암릉이 시작된다. 아홉 암봉으로 생겨난 이름에 걸맞게 한봉 한봉 넘을때마다 짜릿함을 맛본다. 가야국의 흔적이 곳곳에 묻어있는 만어사 미륵바위와 쌍어 그리고 만어석 등 하나같이 신기할 따름이다. 모처럼 코로나로 꽉 막힌 가슴을 확 뚫고 왔다. .코스:영천암-구천산-감물고개-선우사-점골고개-만어산-만어사-우곡마을입구 .거리:11.02km .산행시간:6시간25분 .날씨:맑으나 미세먼지 .난이도:중 구포역에서 삼랑진 가는 무궁화열차 내부 달리는 열차 내에서 본 낙동강 24분 만에 도착한 삼랑진역 마을버스 시간이 맞지 않아 영천암입구..

경상도 2021.02.21

부산 금정산 정법사지 남근석 자웅석계:21.02.06

지난주에 이어서 서문 성곽 따라서 명소를 찾아간다.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쌓 성곽 선조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다. 흉물로 변해버린 정법사사지 목각 대신 크다란 바위에 새겨진 사천왕 너무나 섬세하게 양각되어 예술미가 돋보인다. 범어사기의 하나인 훼손된 자웅석계를 보고 하산한다. .코스:공해마을-가나안수련원 입구-서문-부산학생교육원 앞-장골봉(석문)-암문 제2금샘-미륵봉-정법사지-금샘-남근석-자웅석계 .거리:12.95km .산행시간:6시간54분 .날씨:맑고 미세먼지 .난이도:하(독도주의) 온천장역 3번출구 나와 육교 건너 좌측으로 조금 가면 203번 버스정류장 공해마을 하차 물레방아집 좌측 골목으로 가나안수련원 입구에서 본 지난주에 지나온 파리봉 서문 가는 성곽 각자된 메산의 의미는? 뒷쪽 바위 모습 계곡에 ..

경상도 2021.02.07